호스트는 IP 데이터그램을 수신하게 된다. 각 데이터그램에는 source IP address, destination IP address가 있다. 그리고 각 데이터그램은 한개의 트렌스포트 레이어 segment를 운반하고 있다. 즉 데이터 필드에 담아서 오게 되는 것이다. segment는 위의 그림입니다. 그리고 각 segment에는 source와 destination port number를 갖고있다.
이 때 호스트는 IP address와 port number를 사용해서 segment를 적절한 소켓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 작업을 역다중화 라고 부른다. 이 얘기는 역다중화를 할 때 IP address와 port number가 구분자 구실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IP address와 port number에 따라서 전달되는 소켓이 달라지는 얘기이다.
'서버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GI (Common Gateway Interface) (7) | 2024.10.31 |
---|---|
비 연결형(connectionless) 서비스를 할 때 역다중화가 어떻게 처리되는가 (1) | 2021.03.30 |
Multiplexing/demultiplexing (네트워크 4주차) (0) | 2021.03.30 |
network of networks (0) | 2021.03.24 |
페킷스위칭과 서킷스위칭의 비교 (0) | 2021.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