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LS record로 만들기 위해서 framentation을 통해 쪼갠다. (Application data가 긴 경우) 그리고 압축 할 수 있으면 압축한다. 그 다음으로 Handshake 프로토콜에서 정해진 세션 키와 MAC키 가 있을 거니깐.
이렇게 내려 온것을 HMAC을 이용해서 MAC키를 붙인다.
그리고 이것을 암호화 시킨다. 이때는 세션키를 가지고 MAC키 까지 포함해서 암호화 시킨다.
그리고 TLS record를 만들기 위해서 header를 붙인다. 그러므로 이것이 TLS에서 최종 output이 된다. 고로 이것이 record 이다.
이 TLS record로 만들어 졌고 이게 TCP에 내려가서는 TCP segment로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서버 > 암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웨어(malware) (0) | 2021.07.27 |
---|---|
TLS 내부 (0) | 2021.03.25 |
TLS Layer (0) | 2021.03.23 |
키(🔑 "key") 계산 (0) | 2021.03.22 |
키 교환 방법 (0) | 2021.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