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LS record protocol을 살펴보면은 TLS는 handshake 프로토콜만 있는게 아니라 record 프로토콜도 같이 있는데, handshake 프로토콜에서 세션 키, MAC 키 를 결정해서 응용 메시지를 전달 할 때 MAC키를 이용해서 메시지 인증 (HMAC)을 만들고 다음으로, 세션 키로 암호화 시켜서 응용 프로토콜에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그 과정에서 바로 TCP segment로 보내지 않고 TLS Layer에서 그것을 record로 만들어서 그것을 TCP로 보낸다. TCP segment로 만들어서 실제 망에서 전달이 일어나게 되는데 그렇게 record로 만드는 과정을 하나 더 집어넣은 이유는 TCP자체가 byte stream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record를 만드는 layer를 하나 더 집어넣었다. 어플리캐이션에서 부터 내려오는 데이터를 record로 만들면서 record1,2,3,4,5 이런식으로 record 단위로 보게된다. 그래서 record 단위로 MAC을 붙이고, 또는 암호화를 하게된다. 

처음에 인증을 하고 키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TLS handshake프로토콜을 거치면서 세션 키와 MAC 키가 결정되게 되면 응용 프로토콜 메시지는 TLS record가 만들어져서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서버 > 암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TLS 내부  (0) 2021.03.25
TLS record 생성  (0) 2021.03.24
키(🔑 "key") 계산  (0) 2021.03.22
키 교환 방법  (0) 2021.03.21
암호 방식 리스트 or 암호 알고리즘 리스트(Cipher Suite)  (0) 2021.03.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