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인프로젝트를 앱스토어, 플레이스토어에 둘 다 출시 했다.

 

앱 명은 인테리어를 하면서 사람들이 소위 호구를 많이 당하는데, 구를 명으로 만들고자 호빵으로 지었다.

 


기획부터 프론트엔드(웹, 앱), 백엔드, 인프라까지 혼자 맡아서 하다 보니 퇴근 후 작업이 매우 힘들었지만, 값진 경험이었다. 게다가 실제 유저들까지 유입되어 보람을 느꼈다. 현재 유저는 총 81명으로 (가족과 지인을 제외한 수치) 특별히 돈을 안 들이고 블로그 글 4개로 얻은 성과인 점을 감안하면 개인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숫자라고 생각한다.

혼자서 많은걸 하다 보니 UI/UX에 신경을 충분히 쓰지 못한 것 같다. 현업에서는 백엔드 개발을 하고 있고, 프론트엔드는 학교 과제나 개인 프로젝트를 통해 일부 경험해 본 것이 전부라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처음 해본 앱 개발이 가장 큰 난관이었다.

실제 유저가 유입되었으며, 전체 서비스 이용률은 약 30~40%였고, 회원가입 과정에서의 이탈률은 약 20%였다.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보았다.

1. 유저의 UI에 대한 불신
앱이 렌더링되는 디바이스 화면에 맞게 CSS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았다. (출시 후 조금씩 조정하자는 생각으로 미뤄두었다. 사실상 선택과 집중을 한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한정된 시간 속에서 익숙한 백엔드 쪽에 더 공을 들인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2. 불편하고 친절하지 않은 UX로 인한 불신
예를 들어, 최초 회원가입 후 유저의 휴대폰 인증 과정에서 인증번호 실패 시의 대처 전략이 미흡했다. 렌더링되는 디바이스에 맞게 오류 메시지가 보여야 하는데, 너비가 좁은 디바이스에서는 해당 메시지가 보이지 않아 유저가 당황하고 이탈한 것으로 판단했다.

 

 

결론

위 문제점들을 개선한 결과, 유저 이탈률이 감소하고 전체 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했다.

'난중(개발)일기 > [프로젝트] 호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시작 후 1달차 회고  (1) 2025.03.23

+ Recent posts